분류 전체보기 486

[React] 사용자 입력 처리 import { useState }

사용자 입력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DiaryEditor = () => {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author: "", content: "", }); return ( 오늘의 일기 { setState({ author: e.target.value, content: state.content }); }} /> { setState({ content: e.target.value, content: state.author }); }} /> ); }; export default DiaryEditor; ... 연산자 사용 방법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DiaryEditor = () =>..

Web/React 2023.04.20

[React] 컴포넌트간 데이터 이동 Props

React 컴포넌트는 부모의 값이 변경되면 하위 컴포넌트도 다시 랜더링 되며 자신의 값이 변경되어도 동일하게 다시 랜더링 된다. 부모에서 자식 간 Props 전달 App.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MyHeader from './MyHeader'; import Counter from './Count'; function App() { const number = 5; const counterProps ={ a:1, b:2, c:3, d:4, e:5, } return ( ); } export default App; 자식 컨포넌트인 Counter에게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 자체를 넘겨줄 수 있다. 이를 props라고 한다. Counter.js import React,{..

Web/React 2023.04.20

[React] React State

React에서는 상태(State)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import React,{useState} from 'react'; 를 선언하여 사용 한다. 콘솔을 확인하면 리엑트는 버튼 클릭이벤트로 2번의 counter을 호출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한 번은 연산을 수행하며 한번은 화면 렌더링을 수행한다. import React,{useState} from 'react'; const Counter = () =>{ console.log("counter 호출!"); const [count, setCount, ads] = useState(0); const onIcrease = ()=>{ setCount(count + 1); } const onDecrease = () =>{ setCount(count -..

Web/React 2023.04.20

[React] React설명 및 장점 설치방법

React란? Node 기반의 Javascripts UI 라이브러리이다. Reac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인 2가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여 사용하여야한다. 1. Webpack 다수의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합쳐주는 모듈 번들 라이브러리 2. Babel JSX등의 쉽고 직관적인 자바스크립트 문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라이브러리 장점 1. react는 컴포넌트 방식으로 개발하기 때문에 산탄총 수술을 피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2. react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으로 명령형 프로그래밍에 비해 절차를 하나하나 다 나열할 필요가 없어 가독성이 좋다.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 명령형 프로그래밍(jQuery), 선언형 프로그래밍 (react) 3. Virtual dom을 사용한다. dom이란 ..

Web/React 2023.04.20

[IT지식] WBS 란?

업무 분업 구조(work-breakdown structure, WBS), 작업 분해 구조, 작업 분류 체계, 작업 분할 구조, 작업 분할 구도는 프로젝트 관리와 시스템 공학 분야에서 프로젝트의 더 작은 요소로 분해시킨 딜리버러블 지향 분업 구조이다. 업무 분업 구조는 팀의 작업을 관리 가능한 부분들로 조직화해놓은 주된 제품 딜리버러블이다. 프로젝트 관리 지식 체계 (PMBOK 5)는 업무 분업 구조를 "프로젝트 팀이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딜리버러블을 만들기 위한 총 업무 범위의 계층적 분해"로 정의한다. 업무 분업 구조 요소는 상품, 데이터, 서비스, 또 이들 간의 어떠한 결합이 될 수 있다. WBS는 또한 스케줄 개발 및 통제를 위한 지침 제공과 더불어 세세한 비용 예측 및 통제에 필요한 프..

IT지식 2023.04.18

[JavaScripts] 비동기 사용방법

SetTimeout function taskA() { setTimeout(() => { console.log("A Task Eed"); }, 2000); } taskA(); console.log("코드 작업 끝"); SetTimeout을 사용하면 비동기적으로 행위를 처리할 수 있다. 앞에 인자 값엔 행위를 넣어주고 뒤에는 앞에 전달한 행위가 시작 기다림이다. SetTimeout은 실행이 되면 Call Stack에 쌓였다가 WebApis로 넘어가서 정해진 시간 동안 기다리다 시작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코드가 먼저 실행될 수 있다. 콜백함수와 SetTimeout function taskA(a, b, cb) { setTimeout(() => { const res = a + b; cb(res); }, 3..

Web/JavaScripts 2023.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