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2

[React]Web Storage( Local Storage 와 Session Storage ) 정리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할 상황이 많습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Web Storage입니다. Web Storage는 클라이언트 측에 Key-Value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 HTML5부터 지원되기 시작했습니다.개념Web Storage는 HTML5에서 도입된 기술이다.데이터를 Key - Value 쌍으로 저장할 수 있다.저장된 데이터는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만 존재한다.보통 5MB에서 10MB까지 저장 가능하다.JavaScript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며 삭제할 수 있다.Web Storage의 두 가지 종류1.  Local StorageLocal Storage는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key-value 쌍으로..

Web/React 2025.03.26

[AI] 대형 언어 모델 파인튜닝 기법 정리 (SFT, PEFT, RLHF, DPO, RL)

대형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파인튜닝은 이제 누구나 해볼 수 있을 만큼 쉬워졌지만, SFT, PEFT, RLHF, DPO, PPO, RL 등 용어가 너무 많고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LLM 파인튜닝 전략을 개념 중심으로 정리해보고,언제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지 흐름별로 알아보겠습니다.전체 개념 흐름 데이터 있음   |   |-- 자원이 부족하거나 빠르게 실험하고 싶다   |      -->  PEFT (LoRA, QLoRA)   |   |-- 자원이 충분하고 최대 성능이 목표다   |      -->  Full SFT   |   v 모델이 기본적인 응답을 하게 됨 (SFT 완료)   |   |-- 더 공손하고, 사람 같은 답변을 만들고 싶다   |      -->  RLHF (..

AI 2025.03.26